광제설(廣濟設)은 이제마 선생의 별도의 저술인데, 동의수세보원에 포함시켜 출판한 것이라고 한다. 마음을 잘 다스려야 장수할 수 있다는 내용이며, 술과 계집, 재물, 권세인 주색재권(酒色財權)을 탐욕하지 말며, 어짐을 좋아하고 선(착함)을 즐기는 호현락선(好賢樂善)하라는 내용이다.
동의수세보원에서는 마음가짐을 강조한 부분이 눈에 띄인다. 모든 질병의 원인이 마음에 달려 있고, 그 치료법 역시 약물 뿐만 아니라 마음가짐에 비중을 두고 있다.
올바른 마음가짐이 무엇인지는 모두들 잘 알 것이다. “持滿之道는 損之又損也라” 라는 말이 있다. “만족하는 길은 가지고자 하는 것(욕심)을 덜고 더는 것이다” 란 말이다. 헛된 욕망을 버리고 마음을 비우는 것이 천수(天壽)를 누리는 길이라 생각된다.
한글로 인용한다. 이 장(章)에서 이제마 선생이 제시한 “마음을 다스려 장수하는 방법” 을 만나게 될 것이다.
1세부터 16세까지를 유아라고 말하며 17세부터 32세까지를 소년이라고 말하며 33세부터 48세까지를 장년이라고 말하며 49세로부터 64세까지를 노년이라고 말한다.
모든 사람들이 유년 시기에는 듣고 보기를 좋아하고 부모를 사랑하고 어른을 공경하니 봄철에 터 나오는 싹과 같고, 소년 시기에는 용맹을 좋아하고 날뛰며 빠르니 여름철에 자라나는 묘목과 같고, 장년 시기에는 교제하기를 좋아하고 수양을 하니 가을철에 따 들이는 열매와 같고, 노년 시기에는 계획하는 것을 좋아하고 비밀을 잘 지키니 겨울철에 잠복된 뿌리와 같다.
유년 시기에 문자를 좋아하는 사람은 유년의 호걸이며, 소년 시기에 어른과 늙은이를 공경하는 사람은 소년의 호걸이며, 장년 시기에 박애를 하는 사람은 장년의 호걸이며, 노년 시기에 사람을 옳게 보호하는 사람은 노년의 호걸이다. 좋은 재능이 있고 또 좋은 심술(心術)까지 충분히 가진 사람은 참된 호걸이고, 좋은 재능이 있어도 충분히 좋은 심술을 가지지 못한 사람은 재능뿐만이다.
유년인 7~8세 전에 보고 듣는 것이 부족한 데다가 기뻐하고 성내고 슬퍼하고 즐거워하는 것이 교착하면 병이 되니 사랑하는 어머니가 마땅히 보호할 것이며, 소년인 24~25세 전에 용맹이 부족한 데다가 기뻐하고 성내고 슬퍼하고 즐거워하는 것이 교착하면 병이 되니 지혜있는 아버지와 능숙한 형이 마땅히 보호할 것이며, 장년인 38~39세 전이면 어진 동생과 좋은 벗이라야 지도할 수 있을 것이며, 노년인 56~57세 전이면 효자 효손이라야 부양할 것이다.
착한 사람의 집에는 반드시 착한 사람이 모이고 악한 사람의 집에는 반드시 악한 사람이 모인다. 착한 사람이 많이 모이면 착한 사람의 장기(臟氣)가 활동하고 악한 사람이 많이 모이면 악한 사람의 심기(心氣)가 왕성한다. 술, 이성(異性), 재물, 권세를 좋아하는 집에는 악한 사람이 많이 모인다. 그러므로 그 집 효남, 효부까지도 병을 받는 것이다.
권세를 좋아하는 집에는 붕당(朋黨)이 비주(比周, 서로 싸고 돌면서 아부하는 것)하니 그 집을 패망케 하는 자는 붕당이며, 재물을 좋아하는 집에는 자손이 교만하고 어리석으니 그 집을 패망케 하는 자는 자손이다.
사람의 집에서 모든 일이 잘 되지 않고 질병이 끊이지 않으며 선과 악이 서로 대치되어 그 집이 장차 패망할 지경에 이르면 명철하고 자애로운 아버지와 효자라야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교만하고 사치하면 수명을 감소시키고, 태만하면 수명을 감소시키고, 성질이 편급하면 수명을 감소시키고, 욕심이 많으면 수명을 감소시킨다.
사람이 교만하고 사치하면 반드시 미인을 탐하고, 사람이 태만하면 반드시 술과 음식을 탐하고, 사람이 성질이 협애하면 반드시 권세를 다투고, 사람이 욕심이 많으면 반드시 돈과 재물로 몸을 망친다.
간약(簡約)하면 장수하고, 부지런하면 장수하고, 경계(警戒)하면 장수하고, 지혜가 있으면 장수한다.
사람이 간약하면 반드시 미인(侈色)을 멀리하고, 사람이 부지런하면 반드시 술과 음식에 청결하고, 사람이 경계하면 반드시 권세를 피하고, 사람이 지혜가 있으면 반드시 돈과 재물에 청백하다.
거처가 쓸쓸하고 적막한 것은 색(色) 때문이며, 행신이 불량하고 비루한 것은 술 때문이며, 마음이 착하지 못하고 문란(心煩亂)한 것은 권세 때문이며, 사무(事務)가 혼란한 것은 재물 때문이다.
만약 숙녀(淑女)를 따르면 색에서 공정한 도리를 취할 것이며, 만약 좋은 벗을 친하면 술에서 좋은 덕행을 취할 것이며, 만약 현명한 사람을 사모하면 권세에서 정당한 술책을 취할 것이며, 만약 궁민(窮民)을 보호하면 재물에 안전한 공로를 취할 것이다.
주색재권(酒色財權)을 예로부터 경계하는 바 네 개의 도장(堵墻)이라고 말하고 감옥에 비교하였다. 다만 일신의 수요(壽夭)와 일가의 화복에만 관계되는 것이 아니라 세계의 치안도 역시 여기에 달렸다. 만약 온 세계로 하여금 주색재권의 문란한 풍기가 없게 된다면 거의 요순(堯舜), 주남(周南), 소남(召南)의 세상에 접근될 것이다.
모든 사람이 간약하고 부지런하며 경계하고 지혜가 있는 네 가지가 원만한 자는 자연히 장수를 하고, 간약하고 부지런하고 경계하거나 혹은 지혜가 있고 경계하고 부지런한 세 가지를 소유한 자는 어지간히 장수를 하고, 교활하며 사치하고 부지런하며 경계하고 탐욕하거나 혹은 간약하고 태만하며 편급(偏急)하고 지혜가 있는 등 두 가지를 소유한 자는 주의하면 장수하고 태만하면 단수할 것이다.
모든 사람이 공경하면 반드시 장수하고 태만하면 반드시 단수하며 부지런하면 반드시 장수하고 허탐(虛貪)하면 반드시 단수한다. 배고픈 사람의 장위가 먹을 것을 얻기에 급급하면 장위가 편안치 못할 것이며, 빈한한 자의 뼈가 재물을 얻음에 급급하면 힘이 쇠약하여질 것이다. 배고파도 배고품을 참으면 장위가 튼튼할 것이며 빈한하여도 빈한함을 극복하면 뼈의 힘이 견고할 것이다. 그러므로 음식은 능히 배고품을 참고 배부름을 탐하지 않는 것이 공경이고, 의복은 능히 찬 것을 견디고 따뜻한 것을 탐내지 않는 것이 공경이고, 근력(筋力)은 부지런히 일하고 편안한 것을 탐내지 않는 것이 공경이고, 재물은 능히 근실히 하고 무리한 횡재를 얻는 것을 탐내지 않는 것이 공경이다.
산골 사람은 듣고 본 것이 없음으로써 단수케 되고, 도시 사람은 간약함이 없음으로써 단수케 되고, 농촌 사람은 부지런함이 없음으로써 단수케 되고, 독서하는 사람은 경계함이 없음으로써 단수케 되는 것이다.
산골 사람은 마땅히 듣고 볼 것이니 듣고 본 것이 많으면 장수케 되고, 도시 사람은 마땅히 간약을 할 것이니 간약하면 장수케 되고, 농촌 사람은 마땅히 부지런할 것이니 부지런하면 장수케 되고, 도를 닦는 학자들은 마땅히 경계를 할 것이니 경계하면 장수케 될 것이다.
산골 사람이 만약 듣고 보는 것이 많으면 장수할 뿐만 아니라 이 사람은 곧 산골의 호걸이며, 도시 사람이 만약 간약함이 많으면 장수할 뿐만 아니라 이 사람은 곧 도시의 호걸이며, 농촌 사람이 만약 부지런함이 많으면 장수할 뿐만 아니라 이 사람은 곧 농촌의 호걸이며, 도를 닦는 학자가 만약 경계함이 많으면 장수할 뿐만 아니라 이 사람은 곧 학자의 호걸일 것이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농부는 원래 노력을 하니 가장 부지런한 사람인데 어찌하여 부지런한 것이 없다고 말하며, 학자는 원래 독서를 하니 가장 경계하는 자인데 어찌하여 경계함이 없다고 말하는가? 내가 대답하기를 백묘의 땅(밭 이랑 일백 개의 작은 땅)을 다스리지 못하는 것을 자기의 근심으로 삼는 것은 농부의 임무이니 농부를 학자에 비하면 참으로 나태한 자이다. 학자는 독서만 하는 까닭에 마음이 항상 망령되고 자긍하며 농부는 전혀 글을 모르는 까닭으로 마음에 항상 명심하는 것이니 학자를 농부에 비하면 경계하지 않는 자이다. 만약 농부로서 문자를 아는 데에 힘을 쓰고 학자로서 노역(勞役)을 배우면 재능이 조밀하며 장기(臟氣)가 견고하여 질 것이다.
교만하고 사치한 자의 마음은 여염의 생활을 경시하며 사회와 가정을 경솔히 여기고 소견이 부화방탕하여 전혀 산업의 간고(艱苦)한 데 대해서는 몽매하고 경계에 극히 무관심하며 매양 여색으로 인하여 패가망신하면서도 끝끝내 깨닫지 못하는 것이다.
태만한 자의 마음은 극히 거칠고 들떠서 적은 것으로써 많은 것을 만들려고 하지는 않고 항상 허무맹랑한 공상을 품게 된다. 대개 그 마음이 심히 부지런함을 꺼림으로 항상 술 많은 곳으로 도망하여 가서 부지런함을 피하는 계책만 하려고 한다.
대체로 태만한 자이면 술에 방종하지 않는 사람이 없으니 다만 술에 방종한 자를 보게 되면 반드시 그가 태만한 사람으로서 마음이 거칠고 들떴다는 것을 알 게 될 것이다.
주색(酒色)이 살인하는 것을 모든 사람들이 다 말하기를 주독(酒毒)이 장위를 손상하고 색로(色勞)가 정액을 고갈케 한다고 하나 이것은 그 하나만 알고 둘은 알지 못하는 것이다. 술에 방종하는 자가 그 몸을 부지런히 쓰기를 싫어하니 우환이 산과 같으며 색에 유혹된 자는 그 여자를 깊이 사랑하니 우환이 칼과 같다. 만단(萬端)의 우수가 주독(酒毒)과 색로(色勞)와 더불어 힘을 합해 공격함으로써 살인하는 것이다.
광동(狂童)이 반드시 음녀(淫女)를 사랑하고 음녀가 역시 광동을 사랑하며 어리석은 사나이가 반드시 투부(妬婦)를 사랑하고 투부가 또한 어리석은 사나이를 사랑한다. 음녀는 광동과의 배필에 적합하고 어리석은 사나이가 역시 투부와의 배필에 적합한 것은 당연한 것이다. 대개 음녀와 투부는 악인(惡人)과 천인(賤人)과의 배필은 될 수 있으나 군자(君子)와 귀인(貴人)과의 배필은 될 수 없는 것이다. 칠거의 악(七去之惡) 가운데 음란한 것과 질투하는 것을 버리는 것이 첫째의 조건으로 되는 것이다.
세상 사람들이 ‘투(妬)’ 라는 글자의 뜻을 알지 못하고 다만 여러 첩을 증오하는 것만으로써 말을 한다. 귀인도 선조의 후계가 가장 문제인즉 부인이 반드시 귀인이 첩을 두는 것을 미워하는 것이 아니라 가정을 소란케 하는 장본이 일찍이 많은 첩에서 기인되기 때문에 부인으로서 많은 첩 중에서 간교하고 아첨하는 자들만을 증오하는 것은 오히려 부인에게 있어서 현명한 품성일 것이니 무엇이 ‘투자(妬字)’ 의 뜻에 해당된 것이겠는가?
「시전」에 이르기를 복숭아 꽃이 아름다운데 그 잎도 무성하였다. 이 신부가 출가함으로써 그 가정을 평화케 할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그 가정을 평화케 한다는 것은 어진 사람을 좋아하고 착한 사람을 즐겨 가정을 평화케 함을 말한 것이고 그 가정을 다 평화롭게 못한다는 것은 어진 사람을 시기하고 능한 사람을 미워하여서 가정을 적합하게 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 것이다.
대개 사람의 집에 질병이 끊이지 않으며 사망이 계속 있으며 자손이 어리석으며 자산이 영락하여지는 것은 어리석은 사나이와 투부가 어진이를 질투하며 능한 사람을 미워하는 데서 기인되지 않는 것이 없다.
천하의 악이 어진 사람을 질투하며 능한 이를 증오하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이 없으며, 천하의 선이 어진 사람을 좋아하고 선한 것을 즐겨하는 것보다 더 큰 것이 없다. 어진 사람을 질투하거나 능한 사람을 증오하지 않고서 악을 한다면 악이 반드시 많지 않을 것이며, 어진 사람을 좋아하지 않으며 선한 것을 즐겨하지 않고서 선을 한다면 선이 반드시 크지 못할 것이다.
옛글을 낱낱이 참고하면 천하의 병을 받는 것은 모두 다 어진 사람을 질투하며 능한 사람을 증오하는 데서 생기는 것이며, 천하의 병을 치료하는 것은 모두 다 어진 사람을 좋아하고 선한 것을 즐겨하는 데서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말하기를 어진 사람을 질투하고 능한 사람을 증오하는 것은 천하의 많은 병증이고 어진 사람을 좋아하며 선한 것을 즐겨하는 것은 천하의 큰 약재이다.